본 자료는 영덕어촌민속전시관에서 찍어온 사진과 그곳에서 전시된 자료를 근거로 실제로
시장과 가게에서 확인해본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것입니다.
* 영덕어촌민속전시관 : 영덕 입구 삼사해상공원내 위치하고 있으며, 입장료 어른 1500원, 학생 800원
1. 영덕 대게 구분하는 방법
영덕 대게는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대게(박달대게), 붉은 대게, 수입산 대게, 너도 대게로 구분한다.
가. 대게 : 박달대게(Youngdeok Snow Crabs)
우리나라 동해의 영덕 대게는 200-500m의 수심에서 서식하고 있다. 갑각은 둥근 삼각형에
가깝고, 너비는 길이보다 약간 더 넓으며, 갑각의 언저리에 작은 가시가 15~20개 정도 있다.
몸 빛깔은 주황색 또는 연한 밤색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더 크다.
나. 붉은 대게(Red Snow Crabs)
붉은 대게는 우리나라 동해안과 일본, 러시아 수역 500-2500m의 수심에서 서식하고 있다.
대게보다 수심이 더 깊은 곳에서 서식하지만 크기는 대게보다 작다. 대게와의 구분은 살아있을 때의
색깔로 대게와 쉽게 구분이 되며, 대부분 가공용품으로 만들어져 게살, 맛살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 수입산 대게(Imported Snow Crabs)
최근 북한과 러시아, 일본 등에서 잡힌 수입산 대게가 묵호항 등을 통해서 많이 들어온다.
수입산 대게는 같은 대게이지만 맛과 가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산 대게가 맛과 향이 앞서는
것은 서식환경과 유통기간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산은 등껍질이 밝은 주황색이지만 수입산은
거무스럼하고 여기저기 작은 따개비류가 달라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라. 너도 대게(Blue Crabs)
너도 대게는 수심 400-600m의 수역에서 대게와 붉은대게 사이의 자연교 잡종을 말한다.
그 형태 또한 대게와 붉은대게의 중간 형태를 가지며, 2종의 형태학적인 특징으로만 구분할 수 있다.
형태학적 구분으로는 등쪽의 가시와 옆면의 줄 수에 따라 구분 가능하다.
(청게라고도 하며, 이 잡종을 보고, 그래 너도 대게라고 해라는 뜻에서 너도대게가 된듯....^^*
왜냐하면 옛날 너도밤나무의 전설과 비슷한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2. 대게 고르는 방법
이렇게 대게의 종류가 다양한데다 속은 보이지 않으니 일반인들은 대게 고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영덕대게를 제대로 고르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 배부분이 검거나 검은 색이 도는 것은 피한다.
(게가 죽어서 시간이 흐르면 배부분이 먼저 시커멓게 변한다.)
나. 다리가 몸에 비해 가늘고 길어야 한다.
다. 배쪽을 눌러 말랑말랑한 것은 피한다.
(물게와 같이 속이 빈 것들이 대부분 말랑말랑한데, 배쪽을 누를 때는 배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약간 좌우측 다리 시작 부위 근처를 살짝 눌러야 한다.)
라. 들어봐서 다리가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을 고른다. 특히 집게 다리가 부지런히 움직이는
것은 싱싱하다. 반대로 다리가 쳐져 있으면 좋지 않다.
(심지어 고급게이지만 금방 죽은 것이라면서 반값에 주겠다고 하더라도 절대 믿으면 안된다.)
마. 다리가 불그스름한 것을 고른다. 다리가 허연 빛깔의 대게는 피한다.
(다리가 허옇거나 투명한 것처럼 보이는 놈은 물게와 비슷한 것으로서 속살이 거의 없다.)
바. 게 뚜껑에 검은 게 딱지가 붙은 것이 좋다. 검은 게 딱지는 공생 관계에 있는 일종의
기생충으로 게 딱지가 붙은 대게는 게 딱지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맛이 좋다.
사. 찐 대게의 경우 크기가 같더라도 무거운 것을 고른다.
(게를 구입하여 찔 경우에는 찜값이 10%, 자리세는 두당 2000원, 가지고 갈 경우에는
스치로폴 박스 값이 2000원)
- Summarized by 차오훙따(대구) -
'유용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엔진톱 사용요령 (0) | 2008.03.15 |
---|---|
[스크랩] 그동안 바보처럼, 돈만 날렸넹~~~ (0) | 2008.03.05 |
[스크랩] 싸고 맛있는 영덕대게 먹는 방법 2 - <퍼서 고르기> (0) | 2008.02.09 |
휴대폰확대경 무료체험단 200명모집 (0) | 2008.01.27 |
mylg070 체험단 모집하네요. 1,000명.... (0) | 2008.01.26 |